✅ GMP 우수 기업의 핵심 요소
GMP 규정 준수를 넘어 자체적인 품질 시스템을 구축하고 발전시키는 기업이 우수 기업입니다.
1. 체계적 시스템 중심 운영
- 업무 수행은 표준작업지침서(SOP)를 기반으로 수행되며, 교육·기록·이력관리가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음
- 전 임직원이 SOP를 준수하며, "관행"이 아닌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함
📌 개인 역량이 아닌 체계적 시스템을 통한 운영이 GMP 우수 기업의 핵심 기반입니다.
2. 투명한 품질관리 문화
- 이탈사항 발생 시 투명하게 보고하고 개선 기회로 활용하며, 조직 발전의 계기로 전환
- 문제 발생 시 "개인의 과실"이 아닌 "시스템 개선 필요성"에 중점을 둠
📌 GMP 위반보다 더욱 중대한 사안은 위반사항을 은폐하려는 행위입니다.
3. 실시간 문서화 체계 구축
- 모든 기록은 작업 수행과 동시에 문서화되며, 수정 이력과 사유가 명확하게 관리됨
- 업무 수행과 기록이 동시에 진행되는 효율적 시스템 확립
- 전자 시스템을 통한 추적성 확보, 이력관리, 모니터링의 자동화 실현
📌 "문서화되지 않은 활동은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원칙이 정착되어 있습니다.
4. QA의 전문성과 독립성 보장
- QA는 단순 승인 부서가 아닌, 전사적 품질보증 활동의 주체로서 생산, 품질관리, 물류 등 전반에 대한 전문적 판단 권한 보유
- 주요 품질 관련 의사결정에서 QA의 독립적 판단과 책임이 보장됨
📌 우수 기업은 QA를 '규제자'가 아닌 '품질보증의 파트너'로 인식합니다.
5. 지속적 개선 체계 운영
- 품질 이슈의 재발 방지를 위해 근본 원인 분석(RCA)과 시정예방조치(CAPA)를 체계적으로 실행
- 개선활동은 교육 실시 → 시스템 개선 → 효과성 검증의 순환 구조로 진행됨
📌 "무결점이 아닌, 지속적 개선"이 우수 기업의 품질경영 철학입니다.
6. 실무 중심의 GMP 교육 체계
- GMP 교육은 이론 중심이 아닌 직무별 실무 사례 기반의 맞춤형 교육으로 구성됨
- 규정 변경 시 즉각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며, 교육 이력이 체계적으로 관리됨
📌 "임의적 판단"이 아닌 "표준화된 절차에 따른 수행"을 추구합니다.
📊 주요 특성 요약
영역 | 우수 기업의 특징 |
운영체계 | SOP 기반 표준화, 시스템 중심 운영 |
기업문화 | 투명성 강조, 시스템 개선 중심 |
문서관리 | 실시간 기록, 추적성 확보 |
QA 역할 | 독립적 품질보증 활동 주체 |
개선활동 | CAPA 체계화, 재발방지 강화 |
교육체계 | 실무 중심, 즉시 교육 실행 |
참고문헌
- PIC/S PE009 Chapter 1~9
- ICH Q10 Pharmaceutical Quality System
- 식약처 GMP 고시
- WHO TRS 986 Annex 3
- MFDS 민원인 안내서: 품질보증, 교육, 자율점검편
'GMP 기초 > 심화 이해와 실무 적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C/S란 무엇인가: 글로벌 GMP 기준의 중심 (0) | 2025.05.17 |
---|---|
GMP vs ISO 기준 차이: 구조, 목적, 실무 적용의 모든 것 (0) | 2025.05.17 |
자주 하는 GMP 오해와 진실: 대표 오해 팩트체크 (0) | 2025.05.17 |
GMP 실무 핵심 용어 정리: 개념, 구분, 오용 방지까지 (0) | 2025.05.17 |
자율점검 절차 교육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