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P 기초/GMP 문서, 규정, 시스템 이해하기

GMP 밸리데이션: 품질 일관성과 신뢰성 확보의 과학적 기반

KDKKDK22 2025. 5. 14. 01:51

GMP 밸리데이션

 

 

 

 

 

 

GMP 밸리데이션:
품질 일관성과 신뢰성 확보의 과학적 기반

 

밸리데이션은 제품의 일관된 품질을 입증하는 과학적 절차이며, GMP 품질보증의 핵심 도구입니다.

 

밸리데이션이란?

 

 


 

 

🔍 GMP에서 밸리데이션이 중요한 이유

밸리데이션(Validation)은 제조공정, 설비, 시험법, 전산시스템 등이 의도한 결과를 반복적으로 안정적으로 산출함을 입증하는 과정입니다. GMP에서는 단순 시험 결과가 아닌, 전 과정에서 품질이 유지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즉, 밸리데이션은 품질 리스크를 사전에 통제하고, 제품의 안전성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 품질보증 활동입니다.

 

밸리데이션의 중요성

 

 

📊 예방적 품질보증 vs 사후 검증 비교도

예방적 품질보증 vs 사후 검증 비교도

 

 

 


 

 

🔬 밸리데이션의 적용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밸리데이션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됩니다:

 

📌 밸리데이션 적용 유형별 구조도

유형 주요 대상 핵심 목적
공정 밸리데이션 제조 공정 전반 일관된 제품 품질 확보
청정구역 밸리데이션 무균구역, 제조실 등 입자/미생물 기준 충족
설비 밸리데이션 제조용수, HVAC, 압축공기 등 IQ/OQ/PQ 기반 성능 입증
시험법 밸리데이션 신규 분석법 정확성, 정밀성 확보
세척 밸리데이션 세척공정 교차오염 방지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CSV) LIMS, eQMS, MES 등 데이터 무결성과 규제 적합성 확보

 

밸리데이션 유형

 

 

이러한 활동은 단순히 규제 대응용이 아니라, 제조 신뢰성 확보품질 책임 소재 입증의 중요한 수단입니다.

 

 


 

 

🔄 밸리데이션 수행 절차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밸리데이션은 다음의 단계로 체계적으로 수행됩니다:

 

📌 밸리데이션 7단계 흐름도(예시)

단계 핵심 활동 대표 문서
1단계 전체 전략 수립 VMP (Validation Master Plan)
2단계 요구사항 정의 URS, Validation Plan
3단계 조건 및 기준 설정 Protocol (항목/조건/수용기준 포함)
4단계 시험 수행 및 결과 기록 Test Result, Raw Data, Logbook
5단계 분석 및 종합 보고 Validation Report
6단계 QA 승인 및 보관 승인서, 보관 이력 문서
7단계 변경 시 재평가 Change Control, Risk Assessment

 

모든 문서는 ALCOA+ 원칙에 따라 정확성, 추적성, 즉시성을 확보해야 하며, 변경 이력 역시 명확히 관리되어야 합니다.

 

 


 

 

🔧 적격성 평가(Qualification): 설비 밸리데이션의 핵심

설비나 시스템에 대한 밸리데이션은 '적격성 평가'라는 절차를 통해 다음 단계로 구성됩니다:

단계 정의 핵심 확인사항
URS 사용자 요구사항 명세서 무엇이 필요한지 정의
DQ 설계 적격성 평가 설계가 URS에 부합하는지 확인
IQ 설치 적격성 평가 설비가 정확히 설치되었는지 입증
OQ 운전 적격성 평가 설정 조건에서 정상 작동하는지 검증
PQ 성능 적격성 평가 실제 조건에서 반복성/일관성 확보

 

이 평가 과정은 단순한 장비 작동 여부가 아니라, GMP 기준에 부합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지를 증명하는 절차입니다.

📌 적격성 평가 흐름도

적격성평가 전주기

 

 

 

 


 

 

🔄 Validation과 Verification, 어떻게 다를까?

두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무에서는 명확히 구분되어야 합니다:

항목 Validation Verification
정의 전체 시스템의 일관성 입증 특정 항목의 확인 절차
목적 제품 품질과 시스템 신뢰성 보장 SOP, 시험 등 수행 여부 확인
시점 계획에 따라 사전 수행 이벤트 기반 수시 수행
범위 공정, 설비, 시스템 등 광범위 시험, 문서 등 특정 항목

 

Validation은 품질을 '입증'하는 전 과정이고, Verification은 '확인'하는 보조적 행위입니다.

 

 


 

 

🚫 실사에서 자주 지적되는 밸리데이션 이슈는?

다음은 실제 GMP 실사에서 지적된 사례들입니다:

문제 사례 주요 원인
밸리데이션 계획 부족 항목, 조건, 기준이 불명확하거나 생략됨
보고서 작성 지연 시험은 완료했지만문서화 미비
재밸리데이션 미수행 변경 발생 시 영향평가 및 실행 누락
시험법 밸리데이션 부족 정밀성·정확성 등 통계적 검증 미흡
데이터 미흡 원자료의 이중작성, 로그북 관리 미비

 

이러한 항목은 실제 CAPA(시정조치) 요구로 이어지며, 경우에 따라 제조정지 등의 행정처분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 밸리데이션, GMP 품질보증의 기술적·체계적 핵심 요소

밸리데이션은 기술적 절차일회성 작업이 아닙니다.
이는 GMP 시스템의 기본 토대가 되는 종합적 품질보증 활동입니다.
의약품 제조 과정의 변수위험요소과학적 방법으로 관리하고,
시스템 관점에서 전체 제조 과정을 검증해 일관된 품질
확보하는 것이 밸리데이션의 핵심입니다.

모든 절차는 체계적인 문서화를 수행하고,
변경 관리지속적 모니터링으로 검증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밸리데이션 관련 핵심 질문과 답변

❓ FAQ 1: 밸리데이션은 왜 반드시 해야 하나요?

답변:

밸리데이션은 공정, 설비, 시험법, 시스템 등이 일관되게 원하는 결과를 내는지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절차입니다.

  • 제품 품질과 환자 안전을 사전에 확보하며,
  • 규제기관 실사 시 가장 중점적으로 확인되는 품질보증(QA) 활동입니다.

📚 관련 근거:

  • FDA 21 CFR 211.100(a): 공정 통제를 통해 최종 품질 보장 요구
  • EU GMP Annex 15: 공정·설비 생애주기 전체에 걸친 밸리데이션 요구
  • WHO TRS 1019 Annex 3: 밸리데이션 마스터플랜 및 재검증 포함

❓ FAQ 2: 변경 시 재밸리데이션은 언제 해야 하나요?

답변:

공정·설비·시험법·시스템에 중대한 변경이 발생하면 재밸리데이션을 수행해야 합니다.

  • 변경관리(Change Control)를 통해 영향 평가 → 필요 시 재검증 수행
  • 변경이 밸리데이션 상태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면 반드시 재수행해야 합니다.

📚 관련 근거:

  • EU GMP Annex 15: 변경에 따른 재평가 및 재밸리데이션 절차 명시
  • WHO TRS 1019 Annex 3: 변경 시 Requalification/Revalidation 수행 요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