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균제제 GMP 이해
– 오염관리와 제조환경 기준의 실무 적용 전략 –
비무균제제는 무균제제와는 다른 기준이 적용되지만,
품질 리스크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Annex 1 해석의 전제가 되는
비무균제제 품질관리 체계를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1️⃣ 비무균제제란 무엇인가?
- 비무균제제(Non-sterile products)는 무균 상태를 보장하지 않지만,
규정된 미생물 허용 기준을 만족하며 병원성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의약품을 의미합니다.
구분 | 내용 |
정의 | 미생물 한도 시험을 통과하고, 병원성 미생물(P. aeruginosa, S. aureus 등) 미검출 요건 충족 |
주요 제형 | 정제, 캡슐, 크림제, 연고제, 점이제, 흡입제 등 |
적용 기준 | USP <1111>, PIC/S PE009-17 Chapter 5.19, WHO Annex 6 |
📌 제형에 따라 제조환경 수준 및 오염관리 기준은 차등 적용되며,
흡입제·점이제 등은 무균 유사 환경 적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비무균제제의 미생물 관리 기준
🔸제형별 미생물 허용 기준 비교표
제형 유형 | 생균수 기준 (CFU/g 또는 CFU/mL) | 병원균 허용 기준 |
정제 / 캡슐제 | ≤ 10³ | 무검출 |
외용제 | ≤ 10² | 무검출 |
액제 (비주사제) | ≤ 10² | 무검출 |
점이제 / 흡입제 | ≤ 10² 또는 더 낮은 기준 | 무검출 (P. aeruginosa, S. aureus 등 명시 필요) |
📌 병원성 미생물 검출 시 해당 제품은 품질결함으로 간주되며, 출하 보류 또는 폐기가 필요합니다.
3️⃣ 제조환경 기준 비교: 비무균제제 vs 무균제제
항목 | 비무균제제 관리 기준 | 무균제제 관리 기준 |
제조구역 | 일반 생산실 또는 Grade D | 최소 Class D, 핵심공정은 Class A/B |
HEPA 필터 적용 | 선택적 (Grade D 이상 권장) | A/B 필수 적용 |
환경모니터링 | 정기적 환경검사, 시료 채취 SOP 중심 | 실시간 미립자 측정 포함 지속 모니터링 |
교차오염 방지 | 청소 SOP, 구역 분리, 용기 밀폐 등 | 전용 설비 또는 1품목 1라인 운영 원칙 적용 |
적용 기준 문서 | WHO Annex 6, PIC/S Chapter 5 등 | PIC/S Annex 1, ISO 14644 등 |
📌 점이제, 흡입제, 외용제 등은 투여 경로 위험도에 따라 Grade D 또는 Grade C 환경까지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제형-투여경로-제조환경 등급 매핑표” (QRM 기반 분류 매트릭스)
제형 | 투여 경로 | 오염 민감도 평가 | 권장 청정 등급 | 비고 |
정제 / 캡슐제 |
경구 | 낮음 | 일반 또는 Grade D | 고형제, 장내 투여, 상대적으로 안전 |
액제 (시럽 등) |
경구 | 낮음 ~ 중간 | 일반 또는 Grade D | 미생물 증식 가능성 있으나 경구용은 리스크 낮음 |
외용제 (크림 등) |
피부 / 점막 | 중간 | Grade D 권장 | 상처접촉 가능 → 세척, 청정도 유지 필요 |
점이제 | 점막 (눈, 코) | 높음 | Grade C 이상 | 감염 위험 높아 무균 유사 환경 필요 |
흡입제 | 호흡기 | 매우 높음 | Grade C 이상 | 폐 직접 노출 → 병원균 무검출 + 환경 관리 필수 |
좌제 / 질정제 |
점막 (질, 항문) | 중간 ~ 높음 | Grade D 또는 C | 점막 흡수 경로로 무균 수준까지는 아님 |
4️⃣ 비무균제제 품질관리 요소별 기준 정리
✅ 미생물시험 및 품질기준
- USP <1111> 기준 적용
- 제품 특성에 따라 생균수 기준 설정 및 병원균(P. aeruginosa 등) 무검출 명시
- 검사 결과는 배치기록서 및 CAPA 추적에 연계
✅ 제조환경 및 설비관리
- 제조설비의 적격성 평가 (세척·건조 밸리데이션 포함) 주기적 시행
- 설비 간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공정구획 또는 시간 분리 운영 적용
- 오염 가능 제형은 별도 전용 설비 고려 (예: 외용제, 흡입제 등)
✅ 환경모니터링 운영
- 비정상 균 검출 시 재채취 기준 및 이탈 처리 SOP 존재 여부 확인
- 시료 채취 포인트, 빈도, 결과 해석 기준은 문서화 필요
✅ 기록 및 SOP 체계
- 제조기록서, 세척기록, 환경모니터링 보고서, 위생기록 등 추적성 있는 체계 운영
- SOP 내 시료채취 계획, 오염조사 기준, 보고 절차 포함 필수
✅ 교육 및 인력 관리
- 연 1회 이상 오염관리 및 미생물 기준 관련 교육 실시 의무화
- 교육 이력은 GMP 감사 시 반드시 제시 가능해야 함
✅ CAPA 및 품질개선
- 미생물 허용기준 초과 시 RCA → CAPA → 효과성 평가 체계 구축 필수
5️⃣ 관련 기준 문서 및 참고자료
문서명 | 주요 내용 | 발행 기관 |
식약처 고시 제2024-87호 | 비무균제제 포함한 GMP 품질관리 기준 | 식약처 |
PIC/S PE009-17 Part I | Chapter 5.19: 오염관리 기준 | PIC/S |
WHO TRS 961 Annex 6 | 비무균제제 오염관리 가이드라인 | WHO |
USP <1111> | Non-sterile Product Microbiological Quality 기준 | USP |
📌 추가 참고: 필요 시 ISO 14698 (Cleanroom Biocontamination Control) 문서 병행 활용 가능
📝 마무리 요약
비무균제제는 무균제제와 구분되나, GMP 기준의 수준이 낮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중요한 핵심 제형의 관리 기준 요약:
제형 | 핵심 위험요소 | GMP 적용 포인트 |
흡입제 | 호흡기 감염, 직접 폐 노출 | 병원균 무검출 + Grade D 환경 필수 |
점이제 | 눈/점막 접촉, 감염 위험성 | 무균 유사 수준의 제조환경 적용 필요 |
외용제 | 상처 부위 접촉, 피부 감염 가능 | 세척·밀봉·이력관리 등 오염 방지 중점 |
📌 QRM 기반 환경 등급화, 병원균 기준 명시, 오염 시 CAPA 체계 구축은 실사 대응 및 경향 분석의 핵심입니다.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 정의 |
비무균제제 | 무균 보증은 하지 않으나 규정된 미생물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의약품 |
HEPA | High-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고성능 미립자 여과 장치 |
USP <1111> | 비무균제제의 미생물 한도 기준을 정한 미국약전 항목 |
RCA | Root Cause Analysis. 품질이슈의 근본 원인을 분석하는 기법 |
QRM | Quality Risk Management. 품질 리스크 기반 평가·관리 체계 |
📕 참고문헌
- PIC/S PE009-17 GMP Guide Part I, Chapter 5.19
-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961, Annex 6
- USP <1111>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Nonsterile Products
- 식약처 고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제2024-87호
- ISO 14698-1: Biocontamination Control in Cleanrooms
🔗 관련 포스팅 링크
'GMP 심화 > GMP 고시 및 국제 가이드 적용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화 시스템 밸리데이션(CSV) 실무 적용법 (1) | 2025.05.24 |
---|---|
Annex 15 밸리데이션 실무 해설 (0) | 2025.05.23 |
무균의약품 GMP 핵심 가이드 (0) | 2025.05.23 |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2024-87호) 개정 해설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