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P 심화/GMP 고시 및 국제 가이드 적용 전략

무균의약품 GMP 핵심 가이드

by KDKKDK22 2025. 5. 23.

무균의약품 GMP 핵심 가이드

 

무균의약품 GMP 핵심 가이드
– Annex 1 기준 완전 해설 –

 

환경모니터링(EM), 오염관리전략(CCS),
필터 무결성 시험(PUPSIT)에 대한
전문적 분석과 규제 기준 비교 검토

 

 

 


 

 

1️⃣ 개요

 

Annex 1은 무균의약품 제조에 관한 EU GMP, PIC/S, WHO 기준 중
최상위 가이드라인으로, 전 세계 GMP 실사의 표준 기준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2년 전면 개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핵심 요구사항이 체계화되었습니다:

  • 오염관리전략(CCS) 문서화 및 실행 의무화
  • 필터 무결성 시험(PUPSIT) 사전/사후 시행 의무화
  • 환경모니터링(EM) 기준 및 주기 세분화

본 가이드는 Annex 1 개정 사항을 중심으로
국내외 규제기관(MFDS, PIC/S, EU)의 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SOP 정비, 인력교육, 품질보증 전략의 실제 적용 방안을 제시합니다.

 

 

 


 

 

2️⃣ 규정 개정 주요사항

항목 주요 개정사항 규제적 의의
CCS 체계적 오염관리전략 구축 의무화 ICH Q10 기반 품질경영시스템과 연계
EM 등급별 샘플링 항목 및 주기 강화 위해도 기반 품질 모니터링 체계 확립
PUPSIT 사전/사후 무결성 시험 시행 의무화 제품 무균성 보장을 위한 검증 강화
인력 관리 무균조작 교육 및 시뮬레이션 기록 관리 의무화 인적 오염 방지 및 교육 품질 확보
육안검사 검사자 훈련 및 자격 기준 명확화 검사의 일관성과 신뢰성 확보

 

 

 


 

 

3️⃣ CCS (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 구성 요소

  • 설비 및 공조시스템 설계: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레이아웃, 동선, 압력차 구성
  • 무균조작기술 및 제조공정 통제: 클린룸 작업 절차, 세척·멸균 공정, 필터 관리 포함
  • 환경모니터링 체계: 위험도 기반의 샘플링 계획, 기준값 설정, 이탈 대응 프로세스
  • 품질보증 문서화 체계: 주기적 검토, 변경관리, 교육, 감사 대응 체계
Annex 1에 따르면 CCS는 품질경영시스템(QMS)의 필수 구성요소이며,
지속적 개선(CAPA)과 위험기반 접근(QRM)을 통합적으로 반영해야 합니다.

🔹 이행 방안

  • QA 주도의 CCS 통합 문서 시스템 구축
  • SOP, 밸리데이션 자료, 교육자료의 체계적 연계
  • 감사추적(Audit trail)이 포함된 전산 시스템 변경 관리 및 검토 체계 수립
  • PIC/S PE009-17 및 ICH Q10 프레임워크와의 정합성 확보

📊 CCS 구성요소 및 문서화 흐름도

CCS 구성요소

 

CCS 문서화 흐름도

 

 

 


 

 

4️⃣ 환경모니터링(EM) 강화

청정구역 필수 모니터링 요소 관리주기
Grade A 부유입자, 침강미생물, 표면미생물, 입자수 제조 단위별 실시간 모니터링
Grade B 부유입자, 표면미생물 24시간 또는 매일
Grade C / D 표면미생물, 입자수 주 1회 이상 또는 최소 월 1회

✅ 이행 전략

  • 위험도 평가에 기반한 공정별 샘플링 위치 및 빈도 설계
  • 이상 발생 시 즉시 시정 및 예방조치(CAPA) 실행
  • Audit trail 기반 전자기록 시스템 도입
  • ALCOA+ 원칙(정확성, 실시간성, 추적성 등)에 따른 문서화

 

 


 

 

5️⃣ PUPSIT (Pre-use Post-Sterilization Integrity Testing)

🔹 목적

멸균 필터의 무결성을 사전 및 사후 Integrity Test로 확인하여
제품의 무균성을 과학적으로 보증하는 것입니다.

🔹 규정 요건

  • 모든 무균공정에서 PUPSIT 의무 적용
  • 생략 가능 조건: 과학적/기술적 정당성 확보 + QA 승인 + 공식 문서화
    • 예시: 열민감성 필터, 밀폐형 연속공정 설비 등

🔹 실행 지침

  • 시험 조건, 허용 기준, 이탈 대응 절차를 SOP에 명시
  • 무결성 시험 장비의 검교정 및 유지보수 이력 정기적 관리
  • 시험 실패 시 CAPA 시스템과 연계하여 이력 관리

📌 참고: PDA TR #26, GAMP5, PIC/S PI 041-1의 컴퓨터화 시스템 기준 반영 필요

 

📊 PUPSIT 절차 흐름도

PUPSIT 절차 흐름도

 

 


 

 

6️⃣ 국내(MFDS) vs 해외 규정 비교

항목 EU/PIC/S Annex 1 대한민국 MFDS 고시 기준
CCS 전 제조소 적용 필수, 품질시스템 핵심 구성요소 현 고시에는 별도 조항 없음(향후 반영 예정), SOP 내 반영 권장
환경모니터링 등급별 기준, 항목, 빈도 명확히 규정 최소 주기·항목 제시, 위험 기반 계획 수립은 업체 자율
PUPSIT 생략 불가 원칙(모든 무균공정 적용) 생략 가능하나 QA 승인 및 과학적 근거 필수 문서화
무균성 검증 방식 공정 밸리데이션 기반 무균성 입증 요구 멸균시험 또는 시약시험 중심의 무균성 평가 방식

MFDS는 식약처 고시 제2024-87호(2024.12.30.)를 통해
Annex 1 일부 반영 예정 실사 시 CCS 문서, PUPSIT SOP, EM 프로그램은
PIC/S 기준 기반으로 구성 권장

 

 

 


 

 

7️⃣ 인력 교육 및 자격 관리

  • 무균조작자 대상 OJT 및 시뮬레이션 훈련 기록 관리 필수
  • 자격 유지를 위한 정기 재교육 및 평가 시행
  • 교육 이력은 GMP 문서로 보관, 감사대응 자료로 활용
  • Annex 1은 "교육은 오염 방지를 위한 핵심 요소"로 명시

 

 


 

 

8️⃣ 실무 대응 체크리스트

  • ⬜ CCS 문서화 완료 여부 및 갱신 주기 관리
  • ⬜ 환경모니터링 계획이 SOP 및 공정 위험성과 일치하는지 점검
  • ⬜ PUPSIT 생략 시 과학적 근거 + 승인 문서 보유 여부
  • ⬜ SOP ↔ 교육자료 ↔ Validation 자료 간 연계성 확보
  • ⬜ 감사 대응용 FAQ 준비:
    • "Grade A 환경의 입자 모니터링은 실시간으로 어떻게 수행합니까?"
    • "PUPSIT 생략 근거에 대한 과학적 판단 기준은 무엇입니까?"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정의 비고
CCS 오염관리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GMP 품질시스템 통합 문서
EM 환경모니터링 체계 제조 전후 반드시 적용
PUPSIT 필터 무결성 시험 사용 전/후 모두 수행 필요
Grade A~D 청정환경 등급 A > B > C > D 순으로 엄격
Annex 1 EU/PIC/S 공통 무균제제 가이드라인 2022년 전면 개정판 반영

 

 

 


 

 

📕 참고문헌

  • EU GMP Vol. 4, Annex 1 (2022 Revision)
  • PIC/S PE009-17, Chapter 1, Annex 1
  • PIC/S PI 041-1: Good Practices for Data Management and Integrity (2021)
  • WHO TRS 1019 Annex 2
  • 식약처 고시 제2024-87호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2024.12.30.)
  • PDA TR No. 26: Sterilizing Filtration of Liquids
  • ISPE GAMP5: A Risk-Based Approach to Compliant GxP Computerized Systems
  • ISO 14644-1: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Classification of Air Cleanliness

 

 


 

 

🔗 관련 포스팅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