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P 기초/GMP의 개념과 철학

GMP 5대 요소: 품질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섯 기둥

by KDKKDK22 2025. 5. 13.

GMP 5대 요소

 

✅ GMP 5대 요소: 품질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섯 기둥

“GMP는 단일 규정이 아닌, 품질경영시스템(QMS)의
유기적 구조입니다.
WHO, PIC/S 등 주요 기준에서는
People, Premises, Process, Procedures, Products
해당하는 요소를 핵심 구성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 WHO TRS 986 Annex 5, PIC/S PE009 Part I Chapter 1~4)

 


 

 

1. GMP는 왜 '5P' 구조로 이해되는가?

 

GMP는 단순한 문서나 설비 관리 수준이 아닌,
전사적 품질관리 체계(Quality Management System)입니다.

이 체계의 핵심 프레임워크가 바로 5P 요소입니다:

  • People: 인적 자원의 역량과 책임
  • Premises: 공간과 환경의 설계 및 유지
  • Process: 제조공정의 일관성과 적격성
  • Procedures: 모든 작업의 표준화와 문서화
  • Products: 최종 산출물의 품질과 환자 안전

이 5가지 요소는 GMP 실사, 내부 감사, 교육, 품질 리스크 분석의 핵심 평가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GMP 5대 요소(People, Premises, Process, Procedures, Products)

 

 

 


 

 

2. GMP 5대 요소별 실무 적용 및 관리 기준

 

✅ ① People – 인원 역량과 교육 체계

"GMP는 결국 사람이 지킨다."

  •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를 통한 업무자격 사전 명시
  • 입문/직무/정기 교육 이수, 이해도 평가 및 문서화된 승인
  • 교육 누락이나 자격 미달 인력의 작업은 실사 지적 대상

📎 실무 예시

신입 직원은 GMP 기본교육과 직무별 SOP 교육을 이수하고 평가에 통과한 후에만 현장 투입 가능

→ 교육기록은 SOP와 함께 서명·이수일자가 포함된 전자 이력으로 보관


✅ ② Premises – 시설 및 환경 관리

"오염 방지의 시작은 공간 설계입니다."

  • 청정구역 등급, 차압 관리, 공조 및 교차오염 방지 설계 필수
  • 설비의 세척 상태, 보관 이력, 동선 분리는 Audit 필수 항목
  • 환경모니터링, HEPA 점검 결과는 일일 단위로 검토

📎 실무 예시

Class 100에서 작업 중 차압 이상이 발생했으나 조치 이력을 미기재한 경우,

환경 통제 실패로 간주되어 실사 지적


✅ ③ Process – 공정의 일관성과 적격성

"GMP는 일관성의 기술이다."

  • 제조공정은 적격성 평가(PV) 완료 후 진행
  • 공정 중 시험(IPC) 및 관리 기준 설정 필수
  • 변경 발생 시 반드시 Change Control 시스템으로 관리

📎 실무 예시

정제 중 중량 이탈 발생 → 즉시 보류 → 원인 분석 → QA 재승인 후 재가동

→ 누락 시 Deviation 및 품질 리스크 발생


✅ ④ Procedures – 문서화 및 표준화 체계

"문서화되지 않은 것은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 모든 작업은 SOP 기반으로 수행
  • 문서 작성 → 검토 → 승인 → 개정 이력의 추적성 확보
  • 무단 수정 방지, 전자서명 및 감사기록(Audit Trail) 필수

📎 실무 예시

청소 SOP 위반('12시간 이내' 규정 불이행) → QA는 Deviation 문서와 CAPA 요청


✅ ⑤ Products – 최종 품질과 환자 보호

"GMP의 최종 목적은 환자에게 안전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

  • 완제품 시험기준, 사양 관리 및 사전 설정 필요
  • OOS/OOT 발생 시 SOP 기반 3단계 조사
  • 재시험·재처리·회수 등 모든 과정의 문서화

📎 실무 예시

OOS 발생 시 → Phase I 예비 확인 → Phase II 원인 분석 → CAPA 문서화

→ 모든 단계의 기록은 실사 시 제시 가능해야 함

 

 


 

 

3. 5P는 독립적이지 않다: 연계성과 시스템 통합

GMP 요소 실패 사례 예시 유발 결과 최종 리스크
People 교육 미비, 이해도 확인 미실시 SOP 오해, 작업 오류 실사 지적, 생산 중지
Premises 공조 불량, 청정도 미유지 교차오염, 혼입 제품 회수, GMP 위반
Process 변경 미관리, IPC 누락 품질 변동, 불량 발생 QA 보고, 생산 차단
Procedures 무단 개정, 최신본 미사용 절차 위반, 기록 오류 DI 위반, CAPA 요청
Products 시험결과 무시, 불량유통 환자 위해 가능성 회수, 행정처분

 

 

📌 5P 연계 실패 사례로 인한 리스크 발생 흐름도

5P 연계 실패 사례로 인한 리스크 발생 흐름도

 

 

 


 

 

4. GMP 5P 기반 실사 점검 Check List 예시

항목(5P) 실무 점검 항목 점검 기준 예시
People 직무별 교육 이수 여부, 서면 평가 여부 교육 이력 서명 + 평가 기록 필수
Premises 청정구역 등급 유지, 차압 기록, 설비 점검 이력 Class 등급별 환경 모니터링 주기 유지
Process IPC 기준, PV 기록, 이탈관리 이력 중간검사 기록 및 CC 문서 구비
Procedures SOP 최신본 사용 여부, 개정 이력 추적 가능 여부 문서 코드, 개정일자, 승인자 확인 가능
Products 시험기준 설정, OOS/OOT 처리기록, 회수절차 문서화 CAPA 포함 보고서 제시 가능 여부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정의 실무 중요도
GMP 5P People, Premises, Process, Procedures, Products 품질시스템 5대 핵심 요소
SOP 표준작업절차서 문서 기반 실행 기준
IPC 공정 중 품질검사 (In-Process Control) 실시간 공정 품질 점검
Change Control 변경관리: 공정·문서·시스템 변경 시 사전 승인 관리 체계 품질 리스크 최소화
QA / QC 품질보증 / 품질관리 품질 시스템 총괄 / 시험 수행

 

 

 


 

 

📕 참고문헌

  1.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고시 제2023-94호
  2. WHO TRS 986 Annex 5, "Quality management system – main elements"
  3. PIC/S PE009-17, Part I – Chapter 1 & 4
  4. 식품의약품안전처, 「완제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가이던스(민원인 안내서)」, 2023

 

 


 

 

🔗 관련 포스팅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