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P 심화/글로벌 GMP 흐름과 시장 대응

PIC/S PE009로 설계하는 글로벌 GMP 품질시스템 전략

by KDKKDK22 2025. 5. 26.

PIC/S PE009로 설계하는 글로벌 GMP 품질시스템 전략

 

PIC/S PE009로 설계하는 글로벌 GMP 품질시스템 전략

 

PIC/S PE009를 기반으로 한 국내외
GMP 통합 전략 및 전사 품질시스템(QS) 설계 방향

 

 

 


 

 

🔹 서론 – 국제 품질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준 통합

 

  • GMP의 진화:
    •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국내 제약기업에게 GMP는 단순한 허가 기준을 넘어
      다국적 규제를 수용하는 품질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PIC/S PE009는 전 세계 규제당국이 채택하거나 준용하는 핵심 기준으로,
      GMP 운영의 국제적 공통 언어로 기능합니다.
  • PE009의 역할:
    • PE009는 ICH Q10 기반의 전사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QS)을 중심으로
      GMP 요구사항을 구조화하여 문서/절차/교육/감사/위험평가의 일관된 통합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이 포스트의 내용:
    • 이 포스트는 PE009의 구성 체계, 국내 GMP 고시와의 차이점,
      전사 문서 통합 전략, 주요 규제기관의 적용 방식, 그리고 실무 적용 방안
      을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1️⃣ PIC/S PE009 구조 및 국내 GMP 고시 비교

 

📌 PE009 주요 챕터 구성 (버전 15 기준)

 

PE009 주요 챕터 구성

Chapter 주요 내용
1. Quality System QRM, CAPA, 문서화 등 품질시스템 전반
2. Personnel 교육, 위임, 자격요건
3. Premises & Equipment 시설관리, 청정구역 관리
4. Documentation 문서화 기준, 이력 관리
5. Production 공정관리, 제조기록, OOS 대응
6. Quality Control 시험검사 기준, 샘플링, 승인절차
7. Outsourced Activities 위탁 제조/시험 시 품질보장 기준
8. Complaints & Recalls 회수 절차, 고객 불만 처리
9. Self-Inspection 자율점검, 내부 감사 운영 기준

 

📌 국내 GMP 고시와 PE009의 구조적 차이 비교

항목 국내 GMP 고시 PIC/S PE009 주된 차이점 요약
품질관리 체계 개별 요소 중심 전사적 품질시스템 중심 문서, 교육, 감사 간 연계 강조
용어 정합성 국내 기준 중심 ICH Q10/Q9 기반 개념 및 용어 통일성 강화
실사 평가 문서확인 중심 시스템 운영 기반 평가 운영 절차의 효과성 중점 평가
감사 체계 정기 감사 위주 개선 기반 자율점검 강화 CAPA 연계 필수화, 내부 점검 독립성

※ 일부 수출국은 Annex 1/15/11 등 부속서를 병행 적용합니다. 무균제제, 밸리데이션, 컴퓨터화 시스템이 이에 해당합니다.

 

 


 

 

2️⃣ 문서 및 시스템 통합 전략

 

✅ SOP 중심 통합 체계 수립

  • SOP 체계 정비: PE009 챕터에 따른 변경관리, 일탈, 교육, 감사 체계 재구성
  • 문서 양식 통일: EDMS 기반의 확인서, 로그, 교육기록 등 다국어 양식 관리
  • QRM 기반 문서 평가 항목 삽입: SOP, 기록, 감사보고서의 리스크 평가 요소 추가

🔸 문서 통합 흐름도 예시

SOP 문서 통합 흐름도

 

 

✅ 품질시스템(QS) 기반 운영 체계 구축

  • EDMS 구축: 문서 승인 프로세스, 변경 이력 추적, 다국어 버전 통합 관리
  • 문서–교육 자동 연동: SOP 개정에 따른 교육 자동 배포 및 이수 관리
  • SMF 국제 템플릿 적용: EU·WHO 기준의 제조소 개요 문서 표준화
  • 조직 흐름도 및 승인 프로세스 시각화: 문서–승인–교육 프로세스 연계도 구현

🔸 SMF 구성도 예시(PIC/S, WHO 기준)

항목 번호 구성 요소 예시
1 일반 정보: 회사명, 주소, 연락처 등
2 조직도: QA/QC/생산/RA 조직 구성
3 제조소 개요: 생산 구역, 주요 설비 등
4 품질시스템(QS): 변경관리, 일탈, CAPA 등
5 문서 시스템: SOP, 로그북, 기록관리
6 자재 관리: 원료, 자재, 시험, 재평가 기준
7 밸리데이션 개요: 프로세스, 설비, CSV 등
8 위탁업체 및 공급자 관리 체계
9 제품 품질검토(PQR) 및 자율점검 제도

 

 

 


 

 

3️⃣ 주요 규제기관의 적용 현황 요약

국가/기관 PE009 채택 여부 적용 방식 요약 설명
EMA (EU) 공식 적용 EU-GMP 기준 대부분이 PE009와 동일 구조로 운영됨
WHO PQ 심사 기준에 활용 의약품 사전적격 심사 시 GMP 요건으로 PE009 구조를 적극 반영
TGA (호주) 공식 적용 수출용 의약품 실사 시 PE009 기반 실사 가이드와 점검 항목 사용
Swissmedic (스위스) 공식 적용 GMP 실사 기준으로 PE009를 채택하며 문서 요건 및 감사 구조 일치
MFDS (한국) 부분 준용 PIC/S 회원국으로 일부 PE009 구조를 고시에 반영 중
FDA (미국) 비공식 참조 자체 기준인 CFR Part 211 중심이나, 일부 항목은 PIC/S 기준 비교 가능
PMDA (일본) 비공식 참조 ICH Q10 체계 우선 적용, PIC/S 기준은 간접 참고 수준에 머무름

수출 준비 기업은 PE009 기준에 맞춘 문서, 용어, 평가기준 정비가 실사 대응력 강화에 필수적임

 

 


 

 

🔹 4️⃣ 실무에 적용 가능한 핵심 전략

적용 항목 실무 활용 방안 요약
SOP 통합 각 항목별 챕터 연동 (예: QRM – CAPA – Deviation)
SMF 작성 WHO/EU 기준 템플릿 적용, QS 흐름 시각화 포함
교육 연계 SOP 개정 시 자동 교육 연결, 직무별 맞춤 배포
감사 및 개선 자율점검(CAPA) 기반 감사 체계 구축
실사 대응 각 챕터별 문서 구비 상태 점검표 작성

 

 

 


 

 

🔹 결론 – PE009를 활용한 전사 품질경영 체계 수립

  • PE009는 국가 간 규제 용어 및 평가기준의 차이를 해소하는 기준점으로서,
    단일 품질시스템 운영의 토대를 제공합니다.
  • 기업은 PE009를 기준으로 문서, 교육, 감사, 조직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비함으로써
    글로벌 실사 대응력과 품질문화 성숙도를 함께 향상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수출 준비 기업은 다음 항목을 우선적으로 정비해야 합니다:
    • SMF·SOP·감사체계를 PE009 챕터 구조에 맞게 재구성할 것
    • 문서·교육·운영의 연계성과 일관성을 품질시스템 내에서 통합할 것
    • 내부 감사와 개선 활동을 단순 "점검"에서 "운영 시스템 개선" 중심으로 전환할 것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정의
PIC/S PE009 PIC/S가 발간한 GMP 가이드라인, 버전 15 기준
QRM 품질위험관리, ICH Q9 기준
QS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ICH Q10 기반
SMF 제조소 개요 문서(Site Master File)
EDMS 전자문서관리시스템(Electronic DMS)

 

 

📕 참고문헌

  • PIC/S PE009-15
    Good Practices for Pharmaceutical Quality System (GMP Guide Part I)
    Pharmaceutical Inspection Co-operation Scheme (PIC/S), Ver. 15, 2021.
    https://www.picscheme.org
  • ICH Q10: Pharmaceutical Quality System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ICH), 2008.
  • ICH Q9: Quality Risk Management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ICH), Step 4 Version, 2005.
  •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4-87호, 시행일: 2024.12.30.
    (품질관리, 감사, 변경관리 등 국내 GMP 기준)
  • 완제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가이던스
    식품의약품안전처, 민원인 안내서, 제3개정판, 2021.6.9.
  • WHO TRS 986 Annex 2
    WHO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for Pharmaceutical Products: Main Principles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No. 986, 2014.
  • GAMP 5: A Risk-Based Approach to Compliant GxP Computerized Systems
    International Society for Pharmaceutical Engineering (ISPE), 2nd Edition, 2022.
  • WHO PQ Guidelines
    Prequalification of Medicines Programme (PQM): Inspection Guidelines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extranet.who.int/pqweb

 


 

 

🔗 관련 포스팅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