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포스팅은 발표자료를 기반으로 요약·해석한 내용으로,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원문 자료를 참고해야 합니다.
제네릭 품질심사 대응 전략:
제제설계, 기준설정, 시험법 작성 실무
“기술자료는 단순 제출 문서가 아닌 심사자의
과학적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수단입니다.”
– 식약처 2025년 제네릭 심사 설명회
🔹 서론
- 제네릭 의약품 품질심사의 기본 원칙
- CTD 자료의 정합성과 과학성을 기반으로 심사가 이루어집니다.
- 허가의 성패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제설계의 설득력
- 기준설정의 타당성
- 시험법의 적합성
- 심사 환경의 변화
- 과거와 달리 동일한 기준과 시험법을 반복 제출하는 방식은 더 이상 인정되지 않습니다.
- 개별 제품의 특성에 맞춘 자료작성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 본 포스팅의 구성
- 제네릭 품질자료 작성의 핵심 세 요소에 대해 다음을 설명합니다:
- 심사자 관점의 판단 기준
- 실무 적용 전략
- 최근 보완이 빈번한 제형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 예시와 체크포인트로 실무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 제네릭 품질자료 작성의 핵심 세 요소에 대해 다음을 설명합니다:
1️⃣ 제제설계(3.2.P.2.2) 작성 전략
✅ 핵심 요건
- 시험제와 시판제 간 제형·공정·조성의 일치 여부를 명확하게 제시
- 시험제 제조근거(설계 사유, 제조공정 조건 등)와 과학적 자료의 연계성 입증
✅ 작성 포인트
- 용출시험 조건 설정의 논리적 근거 제시
(예: 교반속도 50rpm 설정 근거 - 유사제형 기준과 예비시험 결과 반영) - 보완 예방을 위한 "시험제-시판제 정합성 설명문" 별도 첨부
- 고용량 시험제 사용 시 시판 예정 제품과의 동등성 입증 자료 제출
✅ 예시
- "시험제는 시판 예정 제품과 동일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주성분 및 부형제 구성도 완전 일치함.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HPMC)" - "시험제는 실제 시판 예정 조성 중 2배 고용량 구성으로 생동성이 확보되어 있음.
이에 따라 시판제는 동등성 인정 가능함."
🔸 제제설계 작성 흐름 요약표
주요 항목 | 확인 및 작성 내용 | 유의사항 |
① 시험제 설정 | 시험제의 배합 및 공정이 시판제와 일치하는지 여부 |
동일 배치 자료 또는 공정 유사성 입증 자료 필요 |
② 조성 비교 | 주성분, 부형제 구성 비교 및 차이점 설명 | 부형제 차이 시 생동성 영향 평가 필요 |
③ 공정 일치성 | 시험제와 시판제의 제조공정 비교 (공정 단계 및 조건 포함) |
QbD 설계, 제조공정 조건 사유 명확히 기술 |
④ 용출시험 조건 설정 | 용출시험의 교반속도, 매질, 시간 설정 근거 명시 |
예비시험 결과, 유사제형 문헌, 통계자료 병기 |
⑤ 종합 연계 기술 | 위 항목들을 종합하여 CTD 3.2.P.2.2에 기술 |
과학적 설명 + 객관적 자료 동시 첨부 권장 |
2️⃣ 기준설정 근거자료(3.2.P.5.6) 작성 전략
✅ 핵심 요건
- 시험기준은 실험자료, 안정성시험, 유사 제형 비교 등
다양한 근거를 종합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 문헌 인용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시험항목 생략 시에는
반드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 작성 포인트
- 제형별 필수 시험항목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예: 주사제의 입자도, 외용제의 잔류용매 기준) - 모든 시험기준은 구체적인 수치 근거가 필요하며,
근거 없는 기준은 보완 대상입니다 - 기준값, 시험방법, 시험범위가 서로 일치해야 하며,
허용오차의 타당성을 명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 예시
- "pH 기준 5.0~6.0은 동일 주성분 유사 제형 3품목의
비교값(평균 5.3±0.4)을 근거로 설정했습니다" - "미생물한도 시험은 무균시험을 대체할 수 없는 항목으로,
시험법의 특이성 입증 자료를 별도 제출합니다"
🔸 기준설정 근거 구성 요소
3️⃣ 시험법(3.2.P.5.2) 작성 전략
✅ 핵심 요건
- 시험법의 특이성, 정확성, 정량성, 검출감도 등
주요 특성은 반드시 검증 자료로 입증해야 합니다 - 시험법은 위탁기관의 방법과 동일해야 하며,
적용 범위를 명확히 기술해야 합니다
✅ 작성 포인트
- 다성분 동시분석 시에는 각 성분의 분리도와
상호 간섭 여부를 반드시 입증해야 합니다 - "유사함", "적절함" 등 모호한 표현은 피하고,
구체적인 수치로 검증 결과를 제시해야 합니다. - 기기 조건, 시료 전처리 방법, 검량선 범위를 상세히 기술해야 합니다.
✅ 예시
- "정량법은 HPLC(λ=254nm, 컬럼: C18)를 사용하며,
검출한계는 0.1μg/mL입니다. 검출감도, 정밀도, 직선성이 모두 허용기준을 만족합니다" - "불순물 시험법은 ICH Q3B 기준을 준수하며,
모든 확인된 유기 불순물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입증했습니다"
🔸 시험법 검증 항목 정리표
검증 항목 | 정의 및 설명 | 적용 시험법 | 유형 참고 기준 (ICH Q2) |
특이성 (Specificity) |
성분 또는 불순물이 다른 물질과 구분되어 검출되는 능력 |
정량법, 확인시험, 불순물시험 |
6.2, 6.3 |
직선성 (Linearity) |
시험 결과가 농도에 따라 비례하는 정도 | 정량법 | 6.4 |
범위 (Range) |
시험법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적용될 수 있는 농도 구간 |
정량법, 불순물시험 | 6.6 |
정확성 (Accuracy) |
실측값이 참값에 근접한 정도 | 정량법, 불순물시험 | 6.5 |
정밀성 (Precision) |
반복 측정 시 일치성 (intra-day, inter-day) |
정량법, 불순물시험 | 6.5.1 ~ 6.5.3 |
검출한계 (LOD) |
검출 가능한 최소 농도 | 불순물시험 | 6.3.1 |
정량한계 (LOQ) |
정량 가능한 최소 농도 | 정량법, 불순물시험 | 6.3.2 |
견고성 (Robustness) |
시험 조건 변화에 따른 영향 평가 | 전 시험법 | 6.7 |
🔹 결론
- 보완 없는 허가를 위한 핵심 요소
- 심사자 관점의 기술자료 설계가 핵심입니다
- 제제설계–기준설정–시험법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하나라도 과학적 연계성이나 논리성이 부족하면 허가가
지연되거나 보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실무자 필수 대응 사항
- 제출 전 자체 점검으로 각 항목 간 정합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명확한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한 설명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 통계자료
- 실험결과
- 유사제형 비교
- 품질 향상을 위한 권장 방법
- 다음을 통해 사전 오류를 최소화하고 완성도 높은 CTD 문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 사전 기술 회의 활용
-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운영
- 다음을 통해 사전 오류를 최소화하고 완성도 높은 CTD 문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 정의 |
제제설계 | 시험제와 시판제의 구성, 공정, 용출조건 등을 설명한 CTD 기술 항목 |
기준설정 근거 | 시험기준값의 설정 배경을 설명하는 통계·비교·시험자료 등 |
시험법 검증 | 시험법의 특이성, 정확성, 정밀성 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절차 |
CTD | 공통기술문서(Common Technical Document)의 품질 파트 (Module 3) |
📕 참고문헌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년 제네릭 품질 심사 방향 발표자료」
- 식약처, 「의약품 품목허가·신고·심사 규정」(고시 제2024-87호)
- ICH Q2(R2): Analytical Validation Guideline
- ICH M4Q(R1): CTD Quality Guideline
- CTD 품질자료 민원인 안내서 (개정 중, 예정 반영)
반응형
'정책설명회(식약처) > 2025년 의약품 허가 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제네릭 의약품 품질 심사 방향 (0) | 2025.06.22 |
---|---|
01. 제네릭 의약품 품질 심사 방향 (0) | 2025.06.21 |
의약품 동등성 심사 방향 (1) | 2025.06.20 |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 안내 (1) | 2025.06.19 |
02. 의약품 사전상담 절차 및 지내용 소개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