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리데이션/밸리데이션 기초

08‑03.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 기초

KDKKDK22 2025. 7. 10. 08:47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 기초:CHT/DHT 설정과 검증의 실무 포인트

 

 

세척 밸리데이션
(Cleaning Validation) 기초:
CHT/DHT 설정과 검증의 실무 포인트

 

 


 

 

🔹 서론: 세척도 '기한이 있다' — 시간 기준의 중요성

  • 세척 밸리데이션의 시간적 고려사항
    • GMP 환경에서 세척 밸리데이션은 단순히
      잔류물 기준을 만족시키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
    • 실제 설비가 사용되기까지의 시간 경과 동안 다음에 대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 청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지
      • 세척 지연이 허용될 수 있는지
  • 주요 시간 기준 개념
    • 이와 관련된 주요 개념들:
      • CHT(Clean Hold Time): 세척 후 청결 상태 유지 시간
      • DHT(Dirty Hold Time): 세척 전 오염 상태 허용 시간
      • SDT(Sampling Delay Time): 필요에 따라 설정되는 샘플링 지연 시간
  • 본 포스팅의 구성
    •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음 내용을 정리합니다:
      • CHT/DHT의 개념과 검증 방법
      • 설정 시 고려 요소
      • SOP 반영 시 주의사항

 

🔸 CHT vs DHT vs SDT 시간 흐름도

CHT vs DHT vs SDT 시간 흐름도

 

 

 


 

 

1️⃣ 개념 정의: CHT, DHT, SDT

용어 정의 적용 위치
CHT
(Clean Hold Time)
세척 완료 후부터
다음 사용 전까지의
청결 상태 유지 가능 시간
"세척 완료 → 다음 사용"
대기 구간
DHT
(Dirty Hold Time)
제조 종료 후부터
세척 전까지
제품 잔류물을
방치 가능한 최대 시간
"제조 종료→ 세척 시작"
유예 시간
SDT
(Sampling Delay Time)
세척 후 잔류물 샘플링까지
허용 가능한 지연 시간
"세척 완료→ Swab 또는
Rinse 시점" 사이 시간

✅ 이 세 가지 시간 기준은 모두 "오염의 확산 또는 미생물 증식 가능성"
차단하는 품질 보증 도구이며, 문서화 및 검증이 필수적입니다.

 

 

 


 

 

2️⃣ 왜 Hold Time 관리가 중요한가?

  • 미세한 잔류물은 시간이 경과하면 물리·화학적으로
    고착되거나 세척 난이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외기 노출이나 습도 조건 변화로 인해
    미생물 오염 또는 산화물 생성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CHT/DHT/SDT 기준은 규제기관 감사 시
    일상 운영 중 청결 유지의 신뢰성 근거로 반드시 요구됩니다.
  • 각 기준은 설비 종류, 제품 독성, 환경 조건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단일 기준의 일괄 적용은 피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 DHT: 6시간~24시간 이내
  • CHT: 24~72시간 이내
  • SDT: 30분~2시간 내외 설정이 흔함

 

 


 

 

3️⃣ 설정 및 검증 방법

 

✅ DHT(Dirty Hold Time) 검증

  • 제조 종료 후 설비를 의도적으로 더러운 상태로 지정 시간 방치
  • 이후 표준 세척 절차를 적용하고,
    잔류물 시험(HPLC, TOC 등)을 통해 세척 효율을 평가
  • 잔류 기준치 이하로 확인되면 해당 시간을 DHT로 설정 가능
📌 설비 내 이물 부착, 점착성 등 물리적 특성에 따라 세척 난이도가 증가할 수 있음에 유의

✅ CHT(Clean Hold Time) 검증

  • 세척 완료 후 정해진 시간 동안 설비를 비가동 상태로 보관
  • 보관 조건은 정상 가동 시 환경조건과 동일하게 유지
  • 지정 시간이 지난 후 재세척 없이 미생물 시험 또는 환경모니터링을 실시
  • 기준 만족 시 해당 시간을 CHT로 설정
📌 청결 보존 조건(덮개 상태, 차단 여부 등)은 반드시 SOP에 명시되어야 하며, 환경 조건의 일관성이 핵심

✅ SDT(Sampling Delay Time) 검증 (선택적 항목)

  • 세척 직후 샘플링 지연 시, 잔류물 오염 또는 검출 오류 가능성을 검증
  • 일반적으로 Swab 샘플링의 타이밍 허용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시험

🔸 CHT/DHT 검증 절차 흐름도

CHT/DHT 검증 절차 흐름도

 

 


 

 

4️⃣ 문서화 및 SOP 반영 항목

  • 세척 밸리데이션 보고서에 CHT/DHT/SDT 설정값 및 검증 결과 반드시 포함
  • 일상 운영 SOP에는 기준 초과 시 재세척 조건, 대응절차 명시
상황 대응 조치
DHT 초과 정규 세척 절차 이행 후 사용 (세척 전 조건으로 간주)
CHT 초과 재세척 또는 부분세척 여부를 기준별 판단
SDT 초과 샘플 폐기 및 재시험 필요, 원인 분석 포함
  • 관련 기록(설비 로그, 작업일지 등)은 시간 항목을 필수로 포함해야 하며, Audit Trail 연동도 권장

 

 


 

 

🔹 결론: 세척의 품질은 '시간 관리'로 완성된다

  • 세척 밸리데이션의 완전성
    • 세척 밸리데이션은 단순한 세척 효과 검증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청결 상태의 유지 가능성까지 입증해야 완전한 품질 보증으로 간주
      됩니다.
  • GMP 현장에서의 실무 적용
    • 특히 GMP 현장에서는 실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기준이 실무 운영의 기준이 됩니다.
  • 시간 기준 설정의 원칙
    • 이에 따른 CHT/DHT/SDT 설정은 단일 수치가 아닌,
      제품·설비별 위험 기반 설정
      이 되어야 합니다.
  • 관련 포스팅 안내: 전체 세척 밸리데이션 흐름과 MACO 계산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08-01 세척 밸리데이션 기초]
    • [08-02 허용기준 설정]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정의
CHT Clean Hold Time. 세척 후 다음 사용까지의 청결 유지 시간
DHT Dirty Hold Time. 제조 후 세척 전까지 방치 가능한 유예 시간
SDT Sampling Delay Time. 세척 완료 후 샘플링까지 허용 가능한 시간
Swab 표면에 면봉을 접촉해 잔류물을 채취하는 샘플링 방법
Rinse 헹굼수를 이용해 잔류물을 회수하는 샘플링 방법
총균수(TAMC) Total Aerobic Microbial Count. 미생물 오염 수준 평가 지표

 

 

 


 

 

📕 참고문헌

  1. FDA, "Guide to Cleaning Validation", 1993
  2. PIC/S PI 006-3, Annex: Cleaning Validation
  3. 식품의약품안전처, "세척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 CHT/DHT/SDT 관련 항목
  4. WHO TRS No. 1019, Annex 3, 2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