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척 밸리데이션
(Cleaning Validation) 기초:
허용기준 설정의 근거와 계산법
🔹 서론: 세척 밸리데이션은
'허용 가능한 잔류기준'에서 출발한다
-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기준 설정
- GMP 환경에서 교차오염을 방지하려면,
세척 후 설비나 기구에 남아도 되는
최대 허용 잔류물 기준(MACO)을 명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 이 기준은 단순히 '눈에 보이지 않음' 수준이 아닌,
과학적·독성학적 근거에 기반한 수치여야 합니다.
- GMP 환경에서 교차오염을 방지하려면,
- 규제기관 가이드라인
- 식약처 「세척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에서는
MACO 산정에 대해 총 세 가지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식약처 「세척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에서는
- 본 포스팅의 구성
- 이 포스팅에서는 다음 내용을 다룹니다:
- 각 접근 방식과 실제 계산식 예시 소개
- 실무에서 기준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들 정리
- 이 포스팅에서는 다음 내용을 다룹니다:
1️⃣ 기준 1: 1일 투여량(TDD) 기반 MACO 계산식
다음 식으로 허용 기준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MACO = (TDD_previous × MBS) / (SF × TDD_next)
항목 | 설명 |
TDD_previous | 이전 제품의 1일 최대 투여량 (mg) |
TDD_next | 다음 제품의 1일 최대 투여량 (mg) |
MBS | 다음 제품의 최소 배치 크기 (mg) |
SF | 안전계수(Safety Factor). 일반적으로 1000 적용 |
✅ 이 계산법은 허용 노출량과 제품 복용량이
모두 정의된 경우에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다음 제품의 복용량이 적을수록 더욱 보수적인 MACO가 산출됩니다.
2️⃣ 기준 2: 일반 허용한도(10 ppm) 기반 간이식
두 제품 간 복용량 차이가 크지 않고 독성이 낮은 경우,
다음과 같은 간이식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MACO = 10 × 10^(-6) × MBS
- 10 ppm은 일반적인 보편 허용치로 사용되며,
- 단위 환산 시 mg → µg 또는 ppm으로 변환이 필요합니다.
⚠️ 이 기준은 독성학적 근거가 부족하므로, 일반 제품군의 내부 기준이나
정량적 시험이 어려운 기구에 한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기준 3: 독성학적 자료 기반 MACO 산정
✅ 3.1. PDE 또는 NOEL 기준 MACO
공식적으로 PDE(Permitted Daily Exposure) 값이 정의되어 있거나,
해당 물질의 NOEL(No Observed Effect Level) 값이 확보된 경우
다음과 같이 MACO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MACO = (PDE × MBS) / 최대 1일 복용량
또는,
MACO = (NOEL × MBS) / (SF × 최대 1일 복용량)
※ NOEL 기반 계산 시 안전계수는 독성 강도에
따라 100~1000 범위에서 조정됩니다.
✅ 3.2. NOEL 추정식 (독성자료 미비 시)
NOEL 값을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독성자료를 기반으로
다음의 경험공식을 사용하여 추정치를 산정할 수 있습니다:
NOEL = (LD50 × BW × 계수) / 2000
항목 | 설명 |
LD50 | 실험 동물에서의 반수 치사량 (mg/kg) |
BW | 평균 체중, 일반적으로 60~70 kg 적용 |
계수 | 동물-인체 변이 보정계수 (예: 설치류 → 인간은 0.002, 개 → 인간은 0.01 등) |
📌 LD50 값은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또는
공식 독성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의약품 제조의 경우, 해당 물질(예: 원료의약품)의 제조사가 제공한
MSDS의 독성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이 방식은 과학적 근거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으므로,
독성 전문가의 자문(MSDS 등)을 통한 근거 확보와 문서화가 필수입니다.
주로 규제기관 대응을 위한 참고나 사전 위험평가 용도로 활용됩니다.
🔹 결론: 기준 설정은 계산보다 '근거의 타당성'이 핵심이다
- MACO 기준의 본질
- MACO 기준은 단순한 수치 계산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 도출된 수치의 근거와 그 선택의 타당성을 명확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실무에서의 기준 적용 원칙
- 실무에서는 가능한 모든 기준을 검토하여 가장 보수적인 값을 채택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이에 따른 세척 SOP, 시험항목, 분석법의 정합성 확보가 중요합니다.
- 종합적 고려사항
- MACO 설정은 단일 공식의 적용보다는 제품 간 복용량, 독성,
산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재밸리데이션 시에도 이러한 근거를 유지해야 합니다.
- MACO 설정은 단일 공식의 적용보다는 제품 간 복용량, 독성,
- 관련 포스팅 안내:
- [08-01. 세척 밸리데이션 기초] 포스트에서는 전체 세척 밸리데이션 흐름과 절차를 설명합니다.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 정의 |
MACO | Maximum Allowable Carry Over. 허용 가능한 최대 잔류량 |
TDD | Total Daily Dose. 1일 총 투여량 |
MBS | Minimum Batch Size. 다음 제품의 최소 생산 배치 크기 |
SF | Safety Factor. 일반적으로 1000 적용 |
PDE | Permitted Daily Exposure. 인체 허용 일일 노출량 기준 |
NOEL | No Observed Effect Level. 유해작용이 관찰되지 않은 최대 용량 |
LD50 | 실험동물 반수 치사량 (mg/kg) |
📕 참고문헌
- 식품의약품안전처, 「세척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허용기준 설정 파트
- EMA, "Guideline on setting health based exposure limits"
-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1019, Annex 3
- PDA Technical Report No. 49, "Points to Consider for Cleaning Validation"
'밸리데이션 > 밸리데이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CSV·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기초 (4) | 2025.07.11 |
---|---|
08‑03.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 기초 (2) | 2025.07.10 |
08-01.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 기초 (2) | 2025.07.08 |
07. 시험법 밸리데이션(Method Validation) 기초 (1) | 2025.07.07 |
06. 제조지원설비 밸리데이션 기초 (0)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