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척 밸리데이션
(Cleaning Validation) 기초: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최소 기준은?
GMP 제조 환경에서 설비 세척은 단순한 청소가 아니라
과학적으로 입증해야 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세척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을까요?
🧼 세척은 단순 청소가 아닌 과학적 입증의 대상입니다
GMP 환경에서 세척은 단순히 설비를 깨끗하게 하는 청소 작업이 아닙니다.
이는 서로 다른 제품 간의 교차오염을 철저히 방지하기 위한 과학적 관리 행위입니다.
특히 여러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는 환경에서는,
같은 설비로 다른 제품을 제조할 때 이전 제품의 잔류물이
다음 제품에 혼입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세척 과정은 표준화되고 일관성 있게 검증 가능해야 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이라는
체계적인 검증 과정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세척 밸리데이션의 핵심 목적과 적용 설비 범위
- 주요 목적:
- 제품 간 교차오염 방지
- 위생 및 품질 보증
- 규제기관 요구사항 충족 (FDA, PIC/S Annex 15, EMA, MFDS 등)
- 적용 대상:
- 동일 설비의 배치 간 재사용
- 공용기구(호스, 도구 등)
- 세척이 가능한 제조지원설비 (예: WFI 루프, CIP 시스템 등)
세척 밸리데이션은 설비 청정도 평가와는 구별되며,
통계적 반복성 확보와 과학적 기준 설정이 핵심입니다.
📏 잔류물 허용 기준과 MACO 산출 방식 비교
세척 밸리데이션의 핵심은 제품 간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비 내 잔류 허용 한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기준은 MACO(Maximum Allowable Carry Over)로 정의되며,
다음 세 가지 산출 기준 중 가장 보수적인 값을 채택합니다.
기준 | 설명 | 적용 상황 예시 |
① PDE 기반 | 인체에 안전한 1일 노출량을 기반으로 계산 |
독성 자료가 확보된 경우 |
② 일반 기준 (10 ppm) | 통상적 허용 수준으로, 보편적 적용 |
산업계 일반 설비 전환 시 |
③ 1일 치료량 기준 | 이전 제품의 최대 복용량을 기준으로 계산 |
상용화 의약품 기준, 간단 적용 가능 |
각 기준은 제품 특성, 복용량, 독성 수준, 생산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가장 보수적인 값을 MACO로 설정합니다.
🧭 세척 밸리데이션 단계별 수행 절차 요약
단계 | 설명 |
1. 위험평가 | 잔류 가능성, 독성, 투약량, 설비 구조 등을 반영한 교차오염 가능성 평가 |
2. 세척방법 정의 | 수동 세척, CIP, SIP 여부 및 세제 종류, 세척 조건(온도, 시간, 반복횟수 등) 설정 |
3. 잔류 허용 기준 설정 | MACO 산출, 분석법의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를 기준으로 선정 |
4. 샘플링 방식 선정 | Swab Sampling(스왑법), Rinse Sampling(린스법) 등 제품 특성 및 설비 구조에 따른 적절한 방식 선택 |
5. 분석법 확립 | 유효한 시험법 확보 및 해당 시험법에 대한 밸리데이션 수행 필수(특이성, 정량성 등) |
6. 시험 수행 | 최소 3회 반복 검증, 대표성 있는 Worst Case 조건 적용 |
7. 결과 분석 및 보고 | 허용기준 충족 여부 평가, 편차 발생 시 CAPA 포함, QA 승인 필수 |
스왑법과 린스법을 병행 검사하며, 가장 오염 가능성이
높은 위치(Worst Case 위치)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ACO 계산, 실무에서 활용되는 3가지 산출 방식
MACO(Massimum Allowable Carry Over)는 제품 간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되는 잔류 허용 한도로, 다양한 계산 방식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방법 중 가장 보수적인 값을 기준으로 채택합니다.
기준 | 유형 설명 | 간단 계산식 예시 |
① PDE 기준 | 독성 자료 기반 노출 허용치 (TTC, NOAEL 등) 활용 |
MACO = (PDE × 다음 제품 최소 배치량) / 최대 일일 복용량 |
② 일반 기준 (10 ppm) |
통상 10 ppm 이하 수준 적용 (산업계 일반 관행) |
MACO = 0.001 × 다음 제품 배치량 |
③ 1일 치료량 기준 | 이전 제품의 1일 최대 투여량 기준 |
MACO = (1일 투여량 × 다음 제품 배치량) / 최대 복용량 |
위 기준들은 제품 특성, 유효성, 독성 수준에 따라 적용되며,
가장 보수적인 기준을 MACO로 선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세척 밸리데이션, 품질과 안전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
세척 밸리데이션은 단순히 '깨끗하게 닦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제품 간 잔류물로 인한 오염 위험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입니다.
눈에 보이는 청결함을 넘어, 분자 수준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품질 관리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규제기관들이 중요하게 보는 것은 단순한 수치가 아닙니다.
그들은 여러분의 전체 품질 시스템이 얼마나 믿을 만한지를 평가합니다.
- MACO 설정 근거는 타당한가?
- 최악의 조건을 제대로 선정했는가?
- 검증은 일관되게 수행되었는가?
- QA 승인과 문제 해결 과정은 적절했는가?
이 모든 요소가 평가의 대상입니다.
현대 제약산업은 빠르게 다품종·소량 생산 체계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세척 밸리데이션은 단순한 검사 항목이 아니라,
전체 품질 보증 시스템의 핵심 기둥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명확한 표준 작업 지침서(SOP)를 갖추고,
주기적으로 시스템을 재검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결국 세척 밸리데이션의 최종 목표는 환자 안전 보장입니다.
철저한 세척 밸리데이션을 통해 교차오염을 방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약품을 생산함으로써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우리의 책임입니다.
이것이 제약산업에서 세척 밸리데이션이 품질의 '마지막 보루'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밸리데이션 > 밸리데이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03.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 기초 (2) | 2025.07.10 |
---|---|
08-02.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 기초 (3) | 2025.07.09 |
07. 시험법 밸리데이션(Method Validation) 기초 (1) | 2025.07.07 |
06. 제조지원설비 밸리데이션 기초 (0) | 2025.07.06 |
05. 적격성 평가(Equipment Qualification) 기초 (2)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