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법 밸리데이션
(Method Validation) 기초: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어떻게 보장하는가?
"시험법 밸리데이션은 왜 필요할까요?"
의약품 품질관리에서 시험법 밸리데이션은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분석 결과가 있어야만 올바른 품질 판단이 가능하며,
이는 곧 환자의 안전과 직결됩니다.
🧪 시험법은 품질 판단의 시작점이자 기준입니다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품질을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는 바로 시험법(Analytical Method)입니다.
시험법이 부정확하다면 제품 품질을 잘못 평가할 수 있고,
이는 심각한 품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시험법은 사용 전에
반드시 목적에 맞는 신뢰성을 검증해야 하며,
이 과정이 바로 시험법 밸리데이션(Method Validation)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시험법 밸리데이션의 적용 시점, 평가 항목,
그리고 판단 기준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시험법 밸리데이션은 언제, 왜 해야 할까?
- 목적:
- 분석 결과가 얼마나 믿을 수 있고 반복해도
같은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시험법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합니다.
- 분석 결과가 얼마나 믿을 수 있고 반복해도
- 시기:
- 새로운 시험법을 처음 사용할 때
- 기존에 사용하던 시험법을 수정했을 때
- 중요한 원료나 재료가 바뀌었을 때
- 다른 실험실로 시험 방법을 전달할 때(기술 이전)
- 외부 업체나 다른 기관에 시험을 맡길 때
- 적용 기준:
- 국제조화위원회(ICH) Q2(R1), 식약처 가이드라인,
미국약전(USP) <1225> 등의 공식 기준을 따릅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밸리데이션 항목별 평가 방법과 허용 기준을 제시합니다.
- 국제조화위원회(ICH) Q2(R1), 식약처 가이드라인,
GMP 실사가 진행될 때 검사관들은
항상 시험법 밸리데이션 문서를 꼼꼼히 확인합니다.
이 문서는 여러분이 수행한 시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는
가장 중요한 증거자료이며, 품질관리 시스템의 핵심 요소입니다.
🧬 시험법의 유형별 특성과 분류 기준
유형 | 설명 | 예시 |
화학적 시험법 | 성분의 정량, 순도, 함량 측정 |
HPLC, GC, UV, FT-IR 등 |
미생물학적 시험법 | 미생물 한도 시험, 무균시험, 엔도톡신 시험 |
배양법, LAL 시험 등 |
생물학적 시험법 | 생물학적 활성 평가, 작용 시험 |
세포 기반 분석법, 생체시험 |
🔍 각 유형에 따라 밸리데이션 수행 항목과 기준이 다르므로,
시험 목적과 특성을 고려한 밸리데이션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 시험법 밸리데이션 필수 평가 항목 (ICH Q2 기준)
항목 | 설명 |
정확성 (Accuracy) |
시험 결과가 참값(True Value)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 |
정밀성 (Precision) |
반복 시험 시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는 정도 (Repeatability, Intermediate Precision 포함) |
특이성 (Specificity) |
대상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능력 |
검출한계 (LOD) |
검출 가능한 최소 농도 |
정량한계 (LOQ) |
정량 가능한 최소 농도 |
선형성 (Linearity) |
농도에 따라 시험 결과가 비례적으로 변화하는지 평가 |
범위 (Range) |
시험 결과가 유효하게 도출될 수 있는 농도 구간 |
강건성 (Robustness) |
환경 변화(pH, 장비, 분석자 등)에 따른 결과 변화의 민감도 평가 |
📌 모든 시험법에서 위 항목을 전부 수행할 필요는 없으며,
시험 목적(정량, 정성, 확인용 등)에 따라 적절한 항목을 선정합니다.
📑 시험법 밸리데이션 계획서와 보고서 구성 요소
- 계획서(Protocol):
- 밸리데이션 목적 및 적용 시험법 명시
- 수행 항목, 기준치, 시험 방법, 장비·시험자 정의
- 샘플 준비 절차 및 통계 분석 방법 포함
- 실시 결과 및 해석:
- 원자료(Raw Data), 계산과정, 표·그래프
- 기준치 만족 여부에 대한 명확한 판단
- 보고서(Report):
- 각 항목별 수행 결과 요약 및 결론
- 기준 미달 발생 시 원인 분석 및 CAPA 포함
- QA 승인 및 Change Control 연계 여부 확인
📂 시험법 밸리데이션 문서의 작성·검토 흐름 정리
⚠️ 시험법 밸리데이션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추가 사항들
- 시험기기 적격성 평가(IQ/OQ/PQ)와 구분 필요:
- 기기의 밸리데이션은 Method Validation과 별도로 진행되며, 시험 수행 신뢰성의 기반입니다.
- 기존 공정시험법(compendial method)의 경우 ICH Q2에서
전면 밸리데이션을 면제하는 조건이 명시됩니다.
단, 타당성 평가 및 특정 제품·공정 적용 적합성은 별도 평가가 필요합니다. - 기술이전(Transfer Validation) 시 원개발소와 수령소 간 시험법 일치성 검증이 필수입니다.
💬 시험법 밸리데이션, 현장에서 자주 묻는 질문 정리
시험법 밸리데이션을 이론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품질관리 실무자들이 실제로 부딪히는 고민들을 Q&A 형식으로 알아보겠습니다.
Q1. 대한민국약전(KP) 같은 공식 문서에 있는 시험법을 그대로 쓰는데,
이런 경우에도 밸리데이션을 전부 다 해야 하나요?
A. 간단히 말해, 모든 단계를 처음부터 끝까지 할 필요는 없지만, 아예 안 해도 되는 건 아닙니다.
GMP 가이던스에서는 공정서 시험법이 이미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방법이기 때문에 ICH Q2(R1)의 모든 밸리데이션 항목을
다시 검증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그 시험법이 우리 회사의 특정 제품에 적용될 때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시험법 검증(Verification) 과정은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보통은 의약품에 들어있는 첨가제가 분석에 방해가 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특이성(Specificity)과, 같은 시험을 여러 번 반복해도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하는 정밀성(Precision) 테스트는 꼭 해봐야 합니다.
이런 최소한의 검증 과정을 통해 공식 시험법이
우리 실험실 환경과 제품에 잘 맞는지 과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2. 시험법 밸리데이션을 한 번 하면 영원히 유효한가요?
언제 다시 밸리데이션(Re-validation)을 해야 하나요?
A. 시험법 밸리데이션은 한 번 하고 끝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시 검증이 필요합니다. 의약품 제조 과정이나
조건이 바뀌면 시험법의 유효성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변경관리 시스템과 연결해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의약품 허가 후 제조방법 변경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주요 변경이 있을 때는
시험법이 여전히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재밸리데이션이 필요합니다:
- 원료의약품의 합성 경로가 바뀌었을 때
- 완제의약품의 처방(조성)이 변경되었을 때
- 시험에 사용하는 중요 시약이나 컬럼 등이 바뀌어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때
그러므로 처음 밸리데이션을 한 후에도 제품과 시험 환경의 중요한 변화를 계속 확인하고,
필요할 때마다 재밸리데이션을 실시해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계속 유지해야 합니다.
이것이 의약품 품질관리 시스템의 생명주기(Life-cycle)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 시험법 밸리데이션, 품질을 지탱하는 진짜 가치
시험법 밸리데이션은 단순히 실험 조건을 확인하는 형식적인 절차가 아닙니다.
이는 마치 품질의 '신뢰 증명서'와 같아서,
우리가 얻은 분석 결과가 실제로 믿을 만하다는 것을 객관적인 증거로 보여줍니다.
이런 과정이 있기에 우리는 자신 있게 "이 제품은 안전합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규제기관은 승인의 근거로, 제조사는 품질 보증의 도구로,
그리고 환자와 소비자는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이유로
시험법 밸리데이션을 신뢰합니다.
결국, 시험법의 신뢰성이 탄탄해야 전체 품질 시스템이
굳건한 기반 위에 설 수 있습니다.
이것이 시험법 밸리데이션이 품질관리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밸리데이션 > 밸리데이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02.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 기초 (3) | 2025.07.09 |
---|---|
08-01.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 기초 (2) | 2025.07.08 |
06. 제조지원설비 밸리데이션 기초 (0) | 2025.07.06 |
05. 적격성 평가(Equipment Qualification) 기초 (2) | 2025.07.05 |
04. 공정 밸리데이션(Process) 기초 (0)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