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ta Integrity 기반 문서 체계: GMP 실무 관점 해석
"모든 GMP 문서는 단순 기록이 아닌 데이터 무결성의
증거입니다. 기록과 데이터, 결과, 문서는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품질시스템의 기본입니다."
— MFDS 「GMP 가이드라인」, PIC/S PI 041-1, WHO TRS 996
🔹 서론 – 기록인가? 데이터인가? 문서인가?
GMP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질문입니다.
"이건 데이터인가요? 기록인가요?"
이러한 혼란은 단순한 개념 문제가 아닌 규정 위반, 실사 지적, 문서 무효화로 이어질 수 있는 리스크입니다.
- PIC/S PI 041-1, WHO TRS No.996 및 국내 MFDS 규정은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DI)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로 다음을 명시합니다:
- 용어 간 기능적 구분
- 기록 보존 요건
- 문서화 구조의 일관성 유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GMP 환경에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할 네 가지 개념 – 데이터, 기록, 결과, 문서의
관계와 실무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 본론 – DI 요구사항 기반 주요 개념 정리
1️⃣ 데이터 (Data)
- 객관적 사실을 수치나 신호로 표현한 원자료
- 예: 5.03g, 37.1℃, 시험기기 측정값
- 전자적 생성 또는 수기 기입 모두 포함
2️⃣ 기록 (Record)
- 데이터를 문서에 실제로 기입한 정보
- ALCOA+ 원칙 적용 필수
- Attributable: 책임자 명확
- Legible: 읽을 수 있음
- Contemporaneous: 동시적 기록
- Original: 원본 유지
- Accurate: 정확하게 반영됨
3️⃣ 결과 (Result)
-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계산하여 도출한 품질 판단 기준값
- 예: 평균값, 합격/불합격, 편차 발생 여부 등
- 결정 논리(traceable decision rule) 문서화 필요
4️⃣ 문서 (Document)
-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록을 남기고, 결과를 판단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담는 관리 프레임워크
- 예: 제조기록서, 시험보고서, 로그북, 변경관리 양식
- 문서는 다음을 포함해야 함:
- 승인/개정 이력
- 정형화된 구조 및 보관 조건
- DI 관리 요구사항 포함
🔹 데이터부터 문서까지: DI 기반 정보 흐름 구조도
🔹 실무 적용 비교표
구분 | 예시 | GMP 실무 기준 |
데이터 | 자동 측정값5.03g | 삭제·수정 없이 저장필요 |
기록 | 시험자가 자필 기입한5.03g | 날짜·서명 포함 시유효 기록 |
결과 | '합격', 평균값 | 분석 근거 명확해야인정 가능 |
문서 | 시험기록서, 변경관리서 | SOP 기준에 따라 작성/보관해야 함 |
🔹 문서 설계 시 핵심 검토사항 (Data Integrity 관점)
항목 | 요구사항 |
보존성 | 원본 기록 보관, 감사추적(log) 유지 |
정합성 | 버전/절차 일관성 유지 |
가시성 | 기록자·검토자·승인자의 식별 가능 |
변경관리 | 기록·문서 수정 시 승인 흐름과 변경 이력 확보 |
CSV 적용 여부 | 전자기록일 경우 컴퓨터시스템 밸리데이션(CSV) 필요성 판단 |
🔹 정리 –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문서 체계의 핵심
- 데이터는 기록의 재료이고, 기록은 분석되어 결과로 해석되며,
이 모든 것은 문서에 의해 구조화되어야 합니다. - GMP 실무자는 각 단계에서의 무결성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문서를 통해 이를 입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 DI 기반 문서화 전략은 곧 실사 대응 전략이며,
품질시스템 신뢰도의 핵심 지표입니다.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 정의 |
Data | 객관적 원자료 (숫자, 문자 등) |
Record | 문서에 기입된 데이터 (ALCOA 적용 대상) |
Result | 분석·해석을 통해 도출된 품질 판단값 |
Document | 데이터를 수집·관리하는 구조체 (보존성·일관성 확보 대상) |
🔹 관련 포스팅 시리즈
- ▶ GMP 기초편 시리즈
- ▶ GMP 심화편 시리즈
🔹 참고문헌 및 규정 기반
- PIC/S PI 041-1, Good Practices for Data Management and Integrity, 2021
- WHO TRS No.996 Annex 5, Good Data and Record Management Practices, 2016
- MFDS, 완제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가이드라인
- MFDS, 의약품 제조업체 데이터 완전성 평가지침, 2020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DI) > DI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무 기반 DI 위반 사례와 GxP 대응 전략 (0) | 2025.04.30 |
---|---|
기록 형태별 데이터 무결성 리스크와 실무 관리 전략 (0) | 2025.04.30 |
ALCOA+ 원칙 마스터하기 – 일상과 실무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0) | 2025.04.29 |
주요 규정 및 가이드라인 빠르게 이해하기 – MFDS, PIC/S, WHO, FDA 핵심 비교 (0) | 2025.04.29 |
데이터 완전성(DI) 깊이 이해하기 – 기본 개념과 실무 연결 (0)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