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GMP의 기본 구조 다시 보기
GMP는 단순한 규정 준수를 넘어,
품질경영 철학의 실현 수단입니다.
1️⃣ 제약 산업에서 GMP의 중요성
- 의약품의 특성:
- 의약품은 인체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제조과정 전반에 걸쳐 고도의 품질 보증이 요구됩니다.
- 의약품은 인체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 GMP의 역할과 지향점: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국제적 품질관리 기준입니다. - 제조공정, 문서관리, 교육, 설비 및 위생, 변경관리 등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통합적 운영을 지향합니다.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2️⃣ 제약 GMP의 핵심 요소
요소 | 주요 내용 |
품질보증(QA) | 품질시스템 총괄 운영, 출하 승인, SOP 관리 |
문서화 | 모든 공정의 표준화 및 기록 이력 관리 체계 |
밸리데이션 | 설비·공정·분석법 신뢰성 검증, Annex 15 기준 적용 |
일탈·변경관리 | 관리 절차 문서화, 영향 평가 및 후속 조치 계획 수립 |
자율점검 | 정기적 자체 점검을 통한 지속적 개선 기회 확보 |
교육훈련 | 직무별 GMP 교육 운영, 이력 기반의 교육 효과성 평가 |
위생·설비관리 | 오염방지 및 청정도 유지 체계화 |
3️⃣ 국내 GMP 규정과 PIC/S 체계
- 대한민국의 PIC/S 가입:
- 대한민국은 2014년 PIC/S 가입 이후, 식약처의
「의약품 등의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을
PIC/S PE009-17에 기반하여 개정·운영하고 있습니다.
- 대한민국은 2014년 PIC/S 가입 이후, 식약처의
- 규제 프레임워크의 역할:
- 이는 국제 기준과 국내 실무를 연결하는 핵심 규제 프레임워크로 작동합니다.
기준 구분 | 적용 문서 |
국내 기준 | 식약처 고시 「의약품 등의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
국제 기준 | PIC/S PE009-17 Guide to GMP |
원료의약품 | ICH Q7: GMP for APIs |
4️⃣ 제약 GMP vs 타 산업 GMP 비교
항목 | 제약 GMP | 타 산업 GMP |
법적 강제성 | 강제적, 인허가와 연계 | 상대적으로 자율적, 민간 인증 포함 |
밸리데이션 | 필수사항, Annex 15 명시 | 일부 산업은 유연하게 적용 |
QA 역할 | 전사 품질보증 중심 | 품질부서 관리에 국한되는 경우 많음 |
기록 관리 | 실시간 기록 요구, 변경 이력 추적 필수 | 유연한 기록 기준 허용 |
보관 기준 | 법정 보존기간 명시 | 산업별 내부 방침에 따름 |
5️⃣ GMP 실무의 기본 원칙
✅ 모든 작업은 표준작업절차서(SOP)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며,
✅ 작업자는 모든 기록을 실시간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 변경사항은 명확한 이력 추적과 문서화 체계를 통해 관리되어야 하며,
✅ 최종 출하 승인은 QA 부서의 독립적 책임으로 부여됩니다.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 정의 |
GMP |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Good Manufacturing Practice) |
QA | Quality Assurance, 품질보증 체계 및 부서 |
SOP |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표준작업지침서 |
밸리데이션 | 설비·공정·분석법의 신뢰성과 일관성 검증 |
자율점검 | 정기적 내부 감사로 GMP 준수상태를 점검하는 활동 |
📕 참고문헌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등의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고시
- PIC/S. PE009-17 Guide to GMP
- ICH. Q7 GMP for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 WHO. TRS 986 Annex 2, Annex 15
- 식약처 민원인 안내서: 품질보증편, 변경관리편, 자율점검편
🔗 관련 포스팅 링크
'GMP 기초 > 산업별 GMP 적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산업의 GMP와 HACCP 시스템 비교 및 통합 운영 전략 (0) | 2025.05.20 |
---|---|
건강기능식품 GMP 품질관리 기준과 실무 운영 전략 (0) | 2025.05.19 |
화장품 GMP와 ISO 22716 기반 품질관리 체계 (0) | 2025.05.19 |
의약외품 GMP 적용 기준과 타 산업과의 비교 (0) | 2025.05.19 |
의료기기 GMP와 ISO 13485의 구조 및 실무 차이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