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DI)/DI 심화

백업·복구·아카이빙 실무 가이드

KDKKDK22 2025. 5. 12. 09:12

백업·복구·아카이빙은 데이터 무결성의 마지막 방어선

 

✅ 백업·복구·아카이빙 실무 가이드

– 데이터 무결성의 마지막 방어선과 실효성 확보 전략 –

"데이터는 존재만으로는 의미가 없습니다.
언제든 복구 가능해야 비로소 자산이 됩니다."

— PIC/S PI 041-1, Good Practices for Data Management and Integrity

 

 


 

 

🔹 서론 – 데이터 보호와 복구의 핵심 전략

  • 중요성:
    • GMP 환경에서의 백업·복구·아카이빙은 전략적 데이터 관리 체계로서,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을 보장하는 필수적 요소입니다.
  • 보호 범위: 이는 조직이 직면할 수 있는 품질 위험, 사이버 보안 위협, 시스템 장애, 자연재해에 대한 체계적 방어 시스템을 구성합니다.
  • 추가 요구사항: 단, 데이터 백업의 실행만으로는 충분한 보호 체계를 구축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 GMP 규정 준수를 위한 필수 요소:
    • 복구 프로세스 검증
    • 장기 데이터 보존 신뢰성
    • 표준 운영 절차 체계화

 

 


 

 

🔹 본론 – 체계적 백업 관리 프레임워크

 

1️⃣ 백업(Backup) 체계 수립

  • 정기적 실행 프로세스: 일/주/월별 자동화된 백업 일정 관리
  • 이중화 저장 전략: 내부 시스템 및 외부 매체(테이프, 클라우드 등)를 통한 보관
  • 문서 이력 추적성: 체계적 버전 관리를 통한 데이터 무결성 보장
  • 저장 매체 효율성: LTO 테이프, HDD 등의 체계적 수명주기 관리
  • 모니터링 시스템: 백업 성공 여부에 대한 자동화된 검증 및 통지 체계

 

2️⃣ 복구(Recovery) 전략 구축

  • 복구 검증 프로토콜: 분기별 검증 환경 내 복구 프로세스 실행 및 평가
  • 데이터 무결성 확인: Checksum 검증 및 시스템 로그 정합성 평가 수행
  • 복구 목표치 설정: 시스템 복구 소요시간(RTO) 및 데이터 복구시점(RPO) 기준 수립
  • 위기 대응 체계: 복구 실패 상황에 대한 단계별 보고 및 해결 프로토콜 구축

 

3️⃣ 장기 데이터 보존(Archiving) 관리 체계

  • 법규 기반 보존 기간 수립: 제품 수명주기 종료 후 1년 이상 보관(ICH Q7 근거)
  • 엄격한 접근 권한 관리: 승인된 담당자에 한해 접근 허용
  • 표준 파일 형식 적용: 장기 보존에 적합한 PDF/A 등 산업 표준 형식 채택
  • 저장 매체 수명주기 관리: 정기적 매체 상태 평가 및 계획된 데이터 이전 실시
  • 체계적 폐기 프로세스 운영: 보존 기간 만료 시 검토 기반 폐기 절차 이행

 

 


 

 

🔹 백업·복구·아카이빙 흐름도

 

백업·복구·아카이빙 흐름도

 

 

 


 

 

🔹 실무 점검 체크리스트 예시

항목 점검 내용 주기
백업 수행 여부 자동화 여부 및 스케줄 준수 상태 확인 일/주간
백업 성공 여부 로그 및 성공 메시지 점검 매 백업 후
복구 테스트 진행 여부 시험 환경에서 복구 테스트 결과 검토 분기/반기
복구 정합성 확인 복구 파일의 Checksum 및 로그 검증 수행 분기/반기
복구 실패 대응 프로세스 Escalation 체계 존재 여부 점검 반기
아카이빙 파일 점검 무결성, 포맷 적합성, 접근 제한 여부 확인 반기
아카이빙 보존 만료 검토 폐기 계획 수립 여부 및 검토기록 유지 연 1회
💡 주기 설정은 위험평가에 기반한 논리적 근거가 있어야 실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결론 – 효과적인 데이터 보호 체계의 기반

  • 백업, 복구, 아카이빙의 성공적 구현은 체계적인 운영 절차와 검증 프로세스에 기반합니다.
  • GMP 규정 준수를 위해서는 단순한 백업 실행을 넘어 검증된 복구 프로세스와 실행 가능성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 조직은 시스템 장애 및 규제 감사에 대응할 수 있는 객관적 검증 데이터를 구비해야 합니다.

 

 


 

 

📚 주요 용어 정리

용어 정의
백업(Backup) 원본 데이터를 별도 저장소에 복사·보관하는 행위
복구(Recovery) 백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상태로 복원하는 작업
아카이빙(Archiving) 장기 보존 목적의 별도 관리 체계 운영
RTO (Recovery Time Objective) 복구 가능 최대 시간 목표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복구 허용 최대 데이터 손실 범위 기준

 

 

 


 

 

📕 참고문헌

  1. PIC/S PI 041-1, Good Practices for Data Management and Integrity, 2021.07
  2. WHO TRS 996, Annex 5, Record and Data Management, 2016
  3.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제조업체 데이터 완전성 평가지침, 2020.10
  4. 식품의약품안전처, 완제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가이던스(민원인안내서), 2021.6.9
  5. 식품의약품안전처, 첨단바이오의약품 데이터 완전성 안내서, 2023.1

 

 


 

 

🔗 관련 포스팅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