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P 심화/글로벌 GMP 흐름과 시장 대응

PIC/S PE009로 설계하는 글로벌 GMP 품질시스템 전략

KDKKDK22 2025. 5. 26. 17:01
반응형

PIC/S PE009로 설계하는 글로벌 GMP 품질시스템 전략

 

 

 

 

 

PIC/S PE009로 설계하는
글로벌 GMP 품질시스템 전략

 

 

글로벌 의약품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신가요?


본 포스팅은 PIC/S PE009를 기반으로 한
국내외 GMP 통합 전략전사 품질시스템(QS)
설계 방향을 체계적으로 소개합니다.


글로벌 제약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규제 준수
효율적인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용적인 접근법을 제시하여,
기업이 다양한 국가의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하면서도
일관된 품질 표준을 유지할 수 있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드립니다.

 


 

🌍 PIC/S 기반, 글로벌 GMP 전략의 시작점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국내 제약기업에게 GMP는
단순한 허가 기준을 넘어 다국적 규제를 수용하는
품질 플랫폼
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PIC/S PE009
는 전 세계 규제당국이 채택하거나
준용하는 핵심 기준으로서 GMP 운영의 국제적 공통언어로 기능합니다.


PE009는 ICH Q10 기반의 전사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QS)을
중심으로 GMP 요구사항을 구조화하여
문서/절차/교육/감사/위험평가의 일관된 통합을 가능하게 합니다.

 


 

🧮 PIC/S vs 국내 GMP, 구조는 어떻게 다를까?

 

PIC/S PE009국내 GMP 고시구조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글로벌 규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아래 정보를 통해 두 기준의 핵심 차이점을 명확히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 PE009, 9개 챕터 핵심 정리

PIC/S PE009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모든 측면을 다루는 9개 챕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래 표에서는 각 챕터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여
PE009의 전체 구조를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PE009 주요 챕터 구성

Chapter 주요 내용
1. Quality System QRM, CAPA, 문서화 등 품질시스템 전반
2. Personnel 교육, 위임, 자격요건
3. Premises & Equipment 시설관리, 청정구역 관리
4. Documentation 문서화 기준, 이력 관리
5. Production 공정관리, 제조기록, OOS 대응
6. Quality Control 시험검사 기준, 샘플링, 승인절차
7. Outsourced Activities 위탁 제조/시험 시 품질보장 기준
8. Complaints & Recalls 회수 절차, 고객 불만 처리
9. Self-Inspection 자율점검, 내부 감사 운영 기준

 

⚖️ 국내 GMP vs PIC/S, 구조 차이는 무엇인가

 

아래 표는 국내 GMP 고시PIC/S PE009 간의
주요 구조적 차이점을 한눈에 보여주어,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제약기업이 두 기준을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합니다.

항목 국내
GMP 고시
PIC/S
PE009
주된
차이점 요약
품질관리 체계 개별 요소 중심 전사적
품질시스템 중심
문서, 교육,
감사 간 연계 강조
용어 정합성 국내 기준 중심 ICH
Q10/Q9 기반
개념 및 용어
통일성 강화
실사 평가 문서확인 중심 시스템 운영
기반 평가
운영 절차의
효과성 중점 평가
감사 체계 정기 감사 위주 개선 기반
자율점검 강화
CAPA 연계 필수화,
내부 점검 독립성

 

※ 일부 수출국은 Annex 1/15/11 등 부속서를 병행 적용합니다. 무균제제, 밸리데이션, 컴퓨터화 시스템이 이에 해당합니다.

 

 


 

🧩 문서와 시스템, 어떻게 통합해야 할까?

 

글로벌 GMP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문서 관리시스템 통합이 핵심입니다.
아래에서는 PE009 기반의 체계적인
문서 관리운영 시스템 구축 방안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SOP를 기준으로 문서를 통합하라

  • SOP 체계 정비: PE009 챕터에 따른 변경관리, 일탈, 교육, 감사 체계 재구성
  • 문서 양식 통일: EDMS 기반의 확인서, 로그, 교육기록 등 다국어 양식 관리
  • QRM 기반 문서 평가 항목 삽입: SOP, 기록, 감사보고서의 리스크 평가 요소 추가

 

🔸 문서 통합 흐름도 예시

SOP 문서 통합 흐름도

 

 

🏗️ 품질시스템 기반 디지털 운영 전략

  • EDMS 구축: 문서 승인 프로세스, 변경 이력 추적, 다국어 버전 통합 관리
  • 문서–교육 자동 연동: SOP 개정에 따른 교육 자동 배포 및 이수 관리
  • SMF 국제 템플릿 적용: EU·WHO 기준의 제조소 개요 문서 표준화
  • 조직 흐름도 및 승인 프로세스 시각화: 문서–승인–교육 프로세스 연계도 구현

🔸 SMF 구성도 예시(PIC/S, WHO 기준)

항목 번호 구성 요소 예시
1 일반 정보: 회사명, 주소, 연락처 등
2 조직도: QA/QC/생산/RA 조직 구성
3 제조소 개요: 생산 구역, 주요 설비 등
4 품질시스템(QS): 변경관리, 일탈, CAPA 등
5 문서 시스템: SOP, 로그북, 기록관리
6 자재 관리: 원료, 자재, 시험, 재평가 기준
7 밸리데이션 개요: 프로세스, 설비, CSV 등
8 위탁업체 및 공급자 관리 체계
9 제품 품질검토(PQR) 및 자율점검 제도

 

 

 


 

🌍 PE009, 왜 글로벌 GMP의 기준이 되었을까?

 

PE009세계 각국 규제기관이 점차 도입하고 있는

핵심 GMP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규제기관별 PE009 적용 현황특징을 정리한 것입니다.

국가/기관 PE009 채택 여부 적용 방식 요약 설명
EMA (EU) 공식 적용 EU-GMP 기준 대부분이 PE009와 동일 구조로 운영됨
WHO PQ 심사 기준에 활용 의약품 사전적격 심사 시 GMP 요건으로 PE009 구조를 적극 반영
TGA (호주) 공식 적용 수출용 의약품 실사 시 PE009 기반 실사 가이드와 점검 항목 사용
Swissmedic (스위스) 공식 적용 GMP 실사 기준으로 PE009를 채택하며 문서 요건 및 감사 구조 일치
MFDS (한국) 부분 준용 PIC/S 회원국으로 일부 PE009 구조를 고시에 반영 중
FDA (미국) 비공식 참조 자체 기준인 CFR Part 211 중심이나, 일부 항목은 PIC/S 기준 비교 가능
PMDA (일본) 비공식 참조 ICH Q10 체계 우선 적용, PIC/S 기준은 간접 참고 수준에 머무름

 

수출 준비 기업은 PE009 기준에 맞춘
문서, 용어, 평가기준 정비가 실사 대응력 강화에 필수적임

 

 


 

🛠️ PE009, 실무에 어떻게 적용할까?

다음은 PE009를 기반으로 한 품질시스템 구축
실제 적용할 수 있는 핵심 전략들입니다.
이 전략들을 체계적으로 도입하면
글로벌 GMP 규제 대응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적용 항목 실무 활용 방안 요약
SOP 통합 각 항목별 챕터 연동
(예: QRM – CAPA – Deviation)
SMF 작성 WHO/EU 기준 템플릿 적용,
QS 흐름 시각화 포함
교육 연계 SOP 개정 시 자동 교육 연결,
직무별 맞춤 배포
감사 및 개선 자율점검(CAPA) 기반
감사 체계 구축
실사 대응 각 챕터별 문서 구비 상태
점검표 작성

 

 

 


 

💬 PIC/S 실무 FAQ – 경영진과 위탁관리 편

Q1. PIC/S 기준에서 경영진은 품질시스템 운영에 어떤 책임이 있나요?

 

A. PIC/S PE009 및 ICH Q10에 따르면,
경영진은 품질시스템(PQS)의 최종 책임자입니다.
단순 승인권자가 아니라 전사 품질 전략을 설계하고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 품질방침·목표 수립: 조직의 품질 방향과 구체적 목표를 수립
  • 역할·책임·권한 정의 및 공유: 문서화된 체계를 통해 모든 구성원에게 전달
  • 자원 배정: PQS 운영에 필요한 인력·예산·교육 등 충분한 지원
  • 정기적 경영 검토: 품질성과 평가, 개선 기회 식별 및 실행 주도
  • 품질문화 정착: 모든 직원이 품질 책임감을 갖도록 리더십 발휘

📖 근거:

  • PIC/S PE009-17 Chapter 1, ICH Q10

"경영진은 효과적인 품질시스템이 구축·운영되도록 자원을 지원하고,
역할·책임을 명확히 설정하고 실행해야 한다."
— PIC/S PE009

 

Q2. PIC/S 기준에서 위탁 제조·시험 관리 시 필수 품질요소는 무엇인가요?

 

A. 외부 위탁 활동도 자사 품질시스템의 일부로 간주되므로,
다음과 같은 품질 통제가 필수적입니다.

  • 사전 적격성 평가: 수탁자의 GMP 준수 역량을 실사·문서 검토 등으로 사전 평가
  • 품질 계약(Quality Agreement): 역할·책임·보고 체계를 명확히 정의한 서면 계약 필수
  • 지속적 모니터링: 위탁 활동에 대한 품질 성과 정기 평가 및 개선조치 운영
  • 공급망 투명성 확보: 원료·부자재 등 공급 경로 추적성 및 리스크 평가(QRM) 적용
  • 문서화와 QRM 적용: 위탁 전 과정에 품질위험관리 체계를 적용하여 문제 사전 예방

📖 근거:

  • PIC/S PE009-17 Chapter 7, ICH Q10

"위탁 활동은 계약서에 의해 관리되어야 하며,
품질 관련 책임과 소통 절차가 명확히 규정되어야 한다."
— PIC/S PE009

 

 


 

🌐 PE009 기반 글로벌 GMP,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글로벌 제약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PIC/S PE009를 중심으로 한 통합 품질시스템 구축이 필수입니다.
단순한 규제 준수를 넘어 지속가능한 품질 경쟁력
확보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PE009 도입, 이렇게 3단계로 실행하라

1단계: 현황 진단 및 Gap 분석

  • 현재 GMP 시스템과 PE009 기준 간 차이점 식별
  • 우선순위 개선 영역 선정 및 자원 배분 계획 수립

2단계: 핵심 시스템 통합

  • SOP 체계 재정비 및 문서 표준화
  • EDMS 기반 디지털 품질시스템 구축
  • 교육-감사-CAPA 연계 체계 완성

3단계: 글로벌 실사 대응 체계 완성

  • 국가별 규제 요구사항 통합 관리
  • 지속적 개선 및 모니터링 체계 운영

🎯 성공적인 글로벌 GMP를 만드는 4가지 조건

  • 경영진의 강력한 리더십과 충분한 자원 지원
  • 전사적 품질문화 정착을 위한 지속적 교육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시스템 구축
  • 위험 기반 접근법(QRM) 전면 적용

PE009 기반 글로벌 GMP 전략은 단순한 규제 대응이 아닌
미래 제약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지금 시작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